본문 바로가기

심리이야기/심리9

ENFJ (언변 능숙형) 특징, 인간관계, 보완해야 할 점, 직업 주기능 부기능 & 간단한 소개 외향적 감정형 주기능 F, 부기능 N, 3차기능 S, 열등기능 T 타인의 성장을 도모하고 협동하는 사람들 따뜻하고 적극적이며 책임감이 강하고 사교성이 풍부하고 동정심이 많다. 기질적 특징 & 인간관계 특성 ENFJ는 특이한 카리스마적 자질을 가지고 있으며, 다른 사람들과 협동하는 것을 중시한다. ENFJ는 주로 다른 사람들에게 비판의 말보다는 격려와 칭찬의 말들을 통해 팀원들을 이끌어 가는 모습을 보인다. 책임감은 강한 편인데, 타인의 정서까지도 자기의 책임으로 생각하는 경우가 많아서 타인과의 인간관계에 부담이 되기도 한다. 그래서 다른 사람의 부탁이나 호소에 대해서 자신의 시간이나 여력이 부족하여 들어주지 못할 경우 필요이상의 책임감과 죄책감을 느낀다. 인간관계를 ‘이상화.. 2022. 1. 27.
행복하기 위해서는 두뇌가 안정되어야 한다 우울증을 앓고 있는 사람들은 공통적으로 세로토닌 수치가 낮습니다. 세로토닌의 수치가 낮다는 것은 단순히 우울하거나 힘이 없이 있는 것만을 의미하지 않는다. 세로토닌 수치가 낮은 아이의 경우, 충동적이고 쉽게 감정이 나빠지고, 자주 화내거나 공격하면서, 불안해 합니다. 자신의 상태를 평온하게 유지 하는 것이 매우 어렵다는 의미입니다. 매우 불안정한 상태라는 것입니다. 뇌 역시도 상당히 불안정한 상태일 것입니다. 좌-우뇌 모두가 불안정할 수도 있고, 한 쪽이 강하게 불안 할 수도 있습니다. 이런 경우, 아이는 불안해하고, 주의력이 떨어져서, 한 가지의 집중하지 못하고, 항상 나쁜 감정들을 표출하고, 공격적이거나 무기력하다. 이러한 모습들이 우리 아이에게서 지속적으로 보인다면, 아이의 뇌가 현재 불안정하다고 .. 2021. 7. 22.
트라우마, 시간이 약이 아닙니다 (정의 / 특징 / 치료) 현대사회에서 트라우마라는 말이 많은 사람들을 통해 사용되기 시작한지는 그렇게 오래 되지 않았습니다. 트라우마의 사전적인 의미는 ‘외상’으로 실제 크게 다친 것을 의미하는 데, 이 상처로 인해 생명의 위협이 될 수 있는 수준에서 트라우마라고 합니다. 하지만, 최근에는 정신적인 충격이나 상처를 트라우마로 표현되는 경우가 많아졌습니다. 정확하게는 PTSD(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 -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라고 정의합니다. 미국정신의학회에서는 외상사건을 ‘일반적인 인간 경험의 범주를 넘어서는 것’이라고 기술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이 정의는 부정확하다는 것이 밝혀지고 있습니다. 구타, 강간 등 상당히 많은 형태의 폭력, 성폭력, 가정폭력 등이 일상적인 상황에.. 2021. 7. 22.
공황장애 증상과 진단, 원인 최근 유행인 가짜사나이에서 ‘꽈뚜룹’이란 유튜버가 공황장애가 있고, 약을 복용 중이라는 것을 이야기했다. 최근들어 유명인들 사이에서 많이 나타나서 더욱 알려지게 된 공황장애가 무엇인지 알아보도록 하자. 먼저, 공황장애는 공황발작이 나타나는데, 공황장애와 공황발작은 구분하여 생각해야 한다. 공황발작 : 어느 순간 갑자기 발생하는 강렬한 공포나 불쾌감. 점점 불안해지다가 불안이 심해지는 형태 보다는 갑작스럽게 강한 불안과 공포감이 느껴지는 것을 공황발작이라고 한다. 신체적인 증상이 두드러지게 동반이 된다. 그 증상은 다음과 같다. 몸의 떨림 목구멍이 조이는 느낌 가슴 답답한 느낌 및 통증 숨을 쉬기 힘들다. 죽을 것 같은 느낌 식은 땀 그래서 신체증상을 경험하기 때문에, 처음 경험하신 분들은 대부분 병원에 .. 2020. 8. 13.